디자인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일반 상세페이지와 무엇이 다를까?

빌더스데이

2025. 5. 2.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뭐가 다를까?"
일반 상세페이지와 비교해본 4가지 차이를 알려줄게요. 진행해본 와디즈 펀딩 프로젝트만 100건이 넘으니까, 한번 믿어보세요!


와디즈에서 펀딩을 준비하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어요.

"상세페이지는 다 비슷하지 않나?
와디즈는 어떻게 다르게 해야하는 거지?"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일반 쇼핑몰의 상세페이지와 분명하게 다른 포인트들이 있어요. 동일하게 '상품 소개'를 목적으로 하지만, 플랫폼의 특성과 구매 여정에 따라 기획과 구성 방식이 달라져야 하거든요. 오늘은 차이를 하나씩 짚어보면서, 와디즈 상세페이지를 확실하게 알려드릴게요!


1.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분량이 훨씬 길어요

레퍼런스를 찾다가 와디즈 상세페이지를 처음 보면 놀라는 이유 중 한가지. "이렇게 긴 상세페이지는 처음 봐요!" 라고 생각할겁니다.

일반 상세페이지보다 최소 2배, 많게는 5배 이상 긴 분량을 가지고 있어요. 이건 단순히 '길게 만들어야 좋다'는 문화가 아니라, 크라우드 펀딩의 구조 자체가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풀어서 설명해보면, 와디즈는 네이버나 구글 검색을 통한 자연 유입이 아닌, 와디즈 플랫폼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한정 기간 판매 채널이에요. 펀딩 기간동안 판매가 되지 않으면 구매나 판매 기회가 희박해지죠. 구매 결정까지의 여정이 짧아야 하는 만큼, 고객이 이탈하지 못하고 구매로 이어지도록 설득을 해야 하죠. 그렇다보니 현재처럼 분량이 긴 상세페이지가 되었습니다.

*Tip : 분량은 길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길게 느껴지지 않도록 만들어야 하는게 키포인트 입니다.


2. 인트로가 훨씬 자극적이에요

와디즈 상세페이지를 보면, 시작부터 눈길을 확! 끄는 문장들이 많죠.

"이 가격에 이런 기능, 실화인가?"
"10만명이 선택한 이유, 바로 이것!"
"지금까지 이런 OO은 없었다!"

자극적인 표현들이 많이 보이죠? 이는 '이탈률'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인 설계입니다.

인지심리학에서 자주 이야기되는 개념 중 하나가 확증편향이에요. 사람은 첫인상에서 받는 신호가 긍정적이면, 이후 정보들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어요. 와디즈 상세페이지의 인트로는 그래서 더더욱 중요합니다.

"이거 좀 괜찮은데?" 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인트로의 핵심! 잘 만든 상세페이지는 인트로 만으로도 구매가 결정되고, 그 이후의 내용은 자신의 선택을 '확인'하는 용도로만 읽히기도 해요.

물론 문장 만으로 후킹하지는 않아요. GIF 영상, 이미지 등 시각 정보로 제품의 강점을 보여주는 것도 엄청난 후킹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3. 기능이 아닌 '스토리' 중심의 상세페이지

일반 상세페이지는 제품의 스펙과 기능을 빠르고 쉽게 소개하는 데 집중하는 편입니다. 어떤 기능이 있는지, 가격은 어떤지 등 구매에 필요한 핵심 정보 위주로 구성하죠.

반면 와디즈는 상세페이지 자체를 '스토리' 라고 부릅니다. 이 제품이 왜 만들어졌는지, 어떤 고민 끝에 기능들을 추가했는지, 개발 과정에서 어떤 시도가 있었는지 등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구매는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한다고 하죠? 우리는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구매한 제품들도 구매 과정은 감정으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때문에 와디즈 상세페이지도 감정을 자극하기 위해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냅니다. 이런 구조가 스크롤을 더욱 실감나게 내리도록 유도하고, 분량이 길더라도 그만큼 길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브랜드의 방향성이 마음에 들어서", "이 브랜드가 한 고민이 나와 겹쳐서" 등 와디즈에서의 구매는 그렇게 감정과 연결됩니다.


4. 모바일 친화적인 디자인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모바일 최적화에 매우 집중하고 있습니다. 매일매일 생겨나는 새로운 펀딩 프로젝트들이 업데이트 되는 것을 보면 사용자에 맞춰 가장 빠르게 반영이 되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이제는 와디즈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쇼핑 소비가 모바일에서 이루어지고 있죠. 특히 와디즈는 80% 이상의 사용자가 모바일에서 펀딩에 참여한다고 밝힌 바 있어요. 참조링크
(2019년 기준이니, 지금은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이런 흐름은 상세페이지 디자인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 텍스트는 더 크고 간결하게 배치
  • 이미지는 모바일 화면에 맞는 사이즈로
  • 한눈에 메시지가 들어오도록 구성
  • 가독성 중심의 배치

반면, 일반 상세페이지는 아직까지도 PC 유저를 함께 고려한 디자인이 많아요. 그래서 더 복잡한 레이아웃을 활용하거나, 화면을 넓게 쓰는 경우가 자주 보이죠.
(일반 상세페이지도 점점 모바일에 맞춘 디자인으로 바뀔것으로 보고 있어요.)

와디즈는 스마트폰을 보는 고객이 대부분이라는 확실한 전제를 갖고 아예 기획부터 디자인까지 '세로 스크롤 중심'의 모바일 퍼스트 전략을 사용하거든요.
사용자 입장에서 기획과 디자인이 되어져야 구매에 더욱 효과적이니 와디즈의 이러한 특징은 일반 상세페이지에서도 곧 많이 찾아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일반 상세페이지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와디즈에서 펀딩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싶다면, 기존의 상세페이지 제작 방식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겠죠? 와디즈 플랫폼에 맞춘 기획과 구성, 그리고 전달 방식들을 많이 고려해봐야 할겁니다.

단순히 길게 쓰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고객이 '왜 이 제품을 펀딩해야 하는지'를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하나하나 설득의 흐름을 짜보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와디즈 상세페이지에서 배울 점은 많지만, 모든 플랫폼에 똑같이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네이버, 쿠팡, 자사몰 등에서 구매하는 고객은 이미 각 플랫폼에 익숙한 방식과 정보들이 있기 때문이에요. 갑자기 너무 긴 분량이나, 궁금하지도 않은 브랜드 스토리를 만나면 고객이 당황하며 이탈을 할 수도 있으니까요.

가장 중요한 건 '고객 입장에서 생각하기' 입니다. 어떤 플랫폼에서 어떻게 보여지는지를 고려해서, 우리 제품에 맞는 최적의 구성과 톤앤매너를 찾아보세요:)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뭐가 다를까?"
일반 상세페이지와 비교해본 4가지 차이를 알려줄게요. 진행해본 와디즈 펀딩 프로젝트만 100건이 넘으니까, 한번 믿어보세요!


와디즈에서 펀딩을 준비하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어요.

"상세페이지는 다 비슷하지 않나?
와디즈는 어떻게 다르게 해야하는 거지?"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일반 쇼핑몰의 상세페이지와 분명하게 다른 포인트들이 있어요. 동일하게 '상품 소개'를 목적으로 하지만, 플랫폼의 특성과 구매 여정에 따라 기획과 구성 방식이 달라져야 하거든요. 오늘은 차이를 하나씩 짚어보면서, 와디즈 상세페이지를 확실하게 알려드릴게요!


1.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분량이 훨씬 길어요

레퍼런스를 찾다가 와디즈 상세페이지를 처음 보면 놀라는 이유 중 한가지. "이렇게 긴 상세페이지는 처음 봐요!" 라고 생각할겁니다.

일반 상세페이지보다 최소 2배, 많게는 5배 이상 긴 분량을 가지고 있어요. 이건 단순히 '길게 만들어야 좋다'는 문화가 아니라, 크라우드 펀딩의 구조 자체가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풀어서 설명해보면, 와디즈는 네이버나 구글 검색을 통한 자연 유입이 아닌, 와디즈 플랫폼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한정 기간 판매 채널이에요. 펀딩 기간동안 판매가 되지 않으면 구매나 판매 기회가 희박해지죠. 구매 결정까지의 여정이 짧아야 하는 만큼, 고객이 이탈하지 못하고 구매로 이어지도록 설득을 해야 하죠. 그렇다보니 현재처럼 분량이 긴 상세페이지가 되었습니다.

*Tip : 분량은 길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길게 느껴지지 않도록 만들어야 하는게 키포인트 입니다.


2. 인트로가 훨씬 자극적이에요

와디즈 상세페이지를 보면, 시작부터 눈길을 확! 끄는 문장들이 많죠.

"이 가격에 이런 기능, 실화인가?"
"10만명이 선택한 이유, 바로 이것!"
"지금까지 이런 OO은 없었다!"

자극적인 표현들이 많이 보이죠? 이는 '이탈률'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인 설계입니다.

인지심리학에서 자주 이야기되는 개념 중 하나가 확증편향이에요. 사람은 첫인상에서 받는 신호가 긍정적이면, 이후 정보들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어요. 와디즈 상세페이지의 인트로는 그래서 더더욱 중요합니다.

"이거 좀 괜찮은데?" 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인트로의 핵심! 잘 만든 상세페이지는 인트로 만으로도 구매가 결정되고, 그 이후의 내용은 자신의 선택을 '확인'하는 용도로만 읽히기도 해요.

물론 문장 만으로 후킹하지는 않아요. GIF 영상, 이미지 등 시각 정보로 제품의 강점을 보여주는 것도 엄청난 후킹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3. 기능이 아닌 '스토리' 중심의 상세페이지

일반 상세페이지는 제품의 스펙과 기능을 빠르고 쉽게 소개하는 데 집중하는 편입니다. 어떤 기능이 있는지, 가격은 어떤지 등 구매에 필요한 핵심 정보 위주로 구성하죠.

반면 와디즈는 상세페이지 자체를 '스토리' 라고 부릅니다. 이 제품이 왜 만들어졌는지, 어떤 고민 끝에 기능들을 추가했는지, 개발 과정에서 어떤 시도가 있었는지 등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구매는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한다고 하죠? 우리는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구매한 제품들도 구매 과정은 감정으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때문에 와디즈 상세페이지도 감정을 자극하기 위해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냅니다. 이런 구조가 스크롤을 더욱 실감나게 내리도록 유도하고, 분량이 길더라도 그만큼 길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브랜드의 방향성이 마음에 들어서", "이 브랜드가 한 고민이 나와 겹쳐서" 등 와디즈에서의 구매는 그렇게 감정과 연결됩니다.


4. 모바일 친화적인 디자인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모바일 최적화에 매우 집중하고 있습니다. 매일매일 생겨나는 새로운 펀딩 프로젝트들이 업데이트 되는 것을 보면 사용자에 맞춰 가장 빠르게 반영이 되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이제는 와디즈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쇼핑 소비가 모바일에서 이루어지고 있죠. 특히 와디즈는 80% 이상의 사용자가 모바일에서 펀딩에 참여한다고 밝힌 바 있어요. 참조링크
(2019년 기준이니, 지금은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이런 흐름은 상세페이지 디자인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 텍스트는 더 크고 간결하게 배치
  • 이미지는 모바일 화면에 맞는 사이즈로
  • 한눈에 메시지가 들어오도록 구성
  • 가독성 중심의 배치

반면, 일반 상세페이지는 아직까지도 PC 유저를 함께 고려한 디자인이 많아요. 그래서 더 복잡한 레이아웃을 활용하거나, 화면을 넓게 쓰는 경우가 자주 보이죠.
(일반 상세페이지도 점점 모바일에 맞춘 디자인으로 바뀔것으로 보고 있어요.)

와디즈는 스마트폰을 보는 고객이 대부분이라는 확실한 전제를 갖고 아예 기획부터 디자인까지 '세로 스크롤 중심'의 모바일 퍼스트 전략을 사용하거든요.
사용자 입장에서 기획과 디자인이 되어져야 구매에 더욱 효과적이니 와디즈의 이러한 특징은 일반 상세페이지에서도 곧 많이 찾아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일반 상세페이지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와디즈에서 펀딩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싶다면, 기존의 상세페이지 제작 방식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겠죠? 와디즈 플랫폼에 맞춘 기획과 구성, 그리고 전달 방식들을 많이 고려해봐야 할겁니다.

단순히 길게 쓰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고객이 '왜 이 제품을 펀딩해야 하는지'를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하나하나 설득의 흐름을 짜보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와디즈 상세페이지에서 배울 점은 많지만, 모든 플랫폼에 똑같이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네이버, 쿠팡, 자사몰 등에서 구매하는 고객은 이미 각 플랫폼에 익숙한 방식과 정보들이 있기 때문이에요. 갑자기 너무 긴 분량이나, 궁금하지도 않은 브랜드 스토리를 만나면 고객이 당황하며 이탈을 할 수도 있으니까요.

가장 중요한 건 '고객 입장에서 생각하기' 입니다. 어떤 플랫폼에서 어떻게 보여지는지를 고려해서, 우리 제품에 맞는 최적의 구성과 톤앤매너를 찾아보세요:)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뭐가 다를까?"
일반 상세페이지와 비교해본 4가지 차이를 알려줄게요. 진행해본 와디즈 펀딩 프로젝트만 100건이 넘으니까, 한번 믿어보세요!


와디즈에서 펀딩을 준비하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어요.

"상세페이지는 다 비슷하지 않나?
와디즈는 어떻게 다르게 해야하는 거지?"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일반 쇼핑몰의 상세페이지와 분명하게 다른 포인트들이 있어요. 동일하게 '상품 소개'를 목적으로 하지만, 플랫폼의 특성과 구매 여정에 따라 기획과 구성 방식이 달라져야 하거든요. 오늘은 차이를 하나씩 짚어보면서, 와디즈 상세페이지를 확실하게 알려드릴게요!


1.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분량이 훨씬 길어요

레퍼런스를 찾다가 와디즈 상세페이지를 처음 보면 놀라는 이유 중 한가지. "이렇게 긴 상세페이지는 처음 봐요!" 라고 생각할겁니다.

일반 상세페이지보다 최소 2배, 많게는 5배 이상 긴 분량을 가지고 있어요. 이건 단순히 '길게 만들어야 좋다'는 문화가 아니라, 크라우드 펀딩의 구조 자체가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풀어서 설명해보면, 와디즈는 네이버나 구글 검색을 통한 자연 유입이 아닌, 와디즈 플랫폼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한정 기간 판매 채널이에요. 펀딩 기간동안 판매가 되지 않으면 구매나 판매 기회가 희박해지죠. 구매 결정까지의 여정이 짧아야 하는 만큼, 고객이 이탈하지 못하고 구매로 이어지도록 설득을 해야 하죠. 그렇다보니 현재처럼 분량이 긴 상세페이지가 되었습니다.

*Tip : 분량은 길지만 고객 입장에서는 길게 느껴지지 않도록 만들어야 하는게 키포인트 입니다.


2. 인트로가 훨씬 자극적이에요

와디즈 상세페이지를 보면, 시작부터 눈길을 확! 끄는 문장들이 많죠.

"이 가격에 이런 기능, 실화인가?"
"10만명이 선택한 이유, 바로 이것!"
"지금까지 이런 OO은 없었다!"

자극적인 표현들이 많이 보이죠? 이는 '이탈률'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인 설계입니다.

인지심리학에서 자주 이야기되는 개념 중 하나가 확증편향이에요. 사람은 첫인상에서 받는 신호가 긍정적이면, 이후 정보들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어요. 와디즈 상세페이지의 인트로는 그래서 더더욱 중요합니다.

"이거 좀 괜찮은데?" 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인트로의 핵심! 잘 만든 상세페이지는 인트로 만으로도 구매가 결정되고, 그 이후의 내용은 자신의 선택을 '확인'하는 용도로만 읽히기도 해요.

물론 문장 만으로 후킹하지는 않아요. GIF 영상, 이미지 등 시각 정보로 제품의 강점을 보여주는 것도 엄청난 후킹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3. 기능이 아닌 '스토리' 중심의 상세페이지

일반 상세페이지는 제품의 스펙과 기능을 빠르고 쉽게 소개하는 데 집중하는 편입니다. 어떤 기능이 있는지, 가격은 어떤지 등 구매에 필요한 핵심 정보 위주로 구성하죠.

반면 와디즈는 상세페이지 자체를 '스토리' 라고 부릅니다. 이 제품이 왜 만들어졌는지, 어떤 고민 끝에 기능들을 추가했는지, 개발 과정에서 어떤 시도가 있었는지 등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냅니다.

구매는 이성이 아닌 감성으로 한다고 하죠? 우리는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구매한 제품들도 구매 과정은 감정으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때문에 와디즈 상세페이지도 감정을 자극하기 위해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냅니다. 이런 구조가 스크롤을 더욱 실감나게 내리도록 유도하고, 분량이 길더라도 그만큼 길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브랜드의 방향성이 마음에 들어서", "이 브랜드가 한 고민이 나와 겹쳐서" 등 와디즈에서의 구매는 그렇게 감정과 연결됩니다.


4. 모바일 친화적인 디자인

와디즈 상세페이지는 모바일 최적화에 매우 집중하고 있습니다. 매일매일 생겨나는 새로운 펀딩 프로젝트들이 업데이트 되는 것을 보면 사용자에 맞춰 가장 빠르게 반영이 되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이제는 와디즈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쇼핑 소비가 모바일에서 이루어지고 있죠. 특히 와디즈는 80% 이상의 사용자가 모바일에서 펀딩에 참여한다고 밝힌 바 있어요. 참조링크
(2019년 기준이니, 지금은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예상 됩니다)

이런 흐름은 상세페이지 디자인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 텍스트는 더 크고 간결하게 배치
  • 이미지는 모바일 화면에 맞는 사이즈로
  • 한눈에 메시지가 들어오도록 구성
  • 가독성 중심의 배치

반면, 일반 상세페이지는 아직까지도 PC 유저를 함께 고려한 디자인이 많아요. 그래서 더 복잡한 레이아웃을 활용하거나, 화면을 넓게 쓰는 경우가 자주 보이죠.
(일반 상세페이지도 점점 모바일에 맞춘 디자인으로 바뀔것으로 보고 있어요.)

와디즈는 스마트폰을 보는 고객이 대부분이라는 확실한 전제를 갖고 아예 기획부터 디자인까지 '세로 스크롤 중심'의 모바일 퍼스트 전략을 사용하거든요.
사용자 입장에서 기획과 디자인이 되어져야 구매에 더욱 효과적이니 와디즈의 이러한 특징은 일반 상세페이지에서도 곧 많이 찾아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일반 상세페이지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와디즈에서 펀딩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싶다면, 기존의 상세페이지 제작 방식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겠죠? 와디즈 플랫폼에 맞춘 기획과 구성, 그리고 전달 방식들을 많이 고려해봐야 할겁니다.

단순히 길게 쓰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고객이 '왜 이 제품을 펀딩해야 하는지'를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하나하나 설득의 흐름을 짜보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와디즈 상세페이지에서 배울 점은 많지만, 모든 플랫폼에 똑같이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네이버, 쿠팡, 자사몰 등에서 구매하는 고객은 이미 각 플랫폼에 익숙한 방식과 정보들이 있기 때문이에요. 갑자기 너무 긴 분량이나, 궁금하지도 않은 브랜드 스토리를 만나면 고객이 당황하며 이탈을 할 수도 있으니까요.

가장 중요한 건 '고객 입장에서 생각하기' 입니다. 어떤 플랫폼에서 어떻게 보여지는지를 고려해서, 우리 제품에 맞는 최적의 구성과 톤앤매너를 찾아보세요:)

업데이트 소식을 받아보세요.

상세페이지 제작 꿀팁들과 업데이트 소식을 받아보세요.

업데이트 소식을 받아보세요.

상세페이지 제작 꿀팁들과 업데이트 소식을 받아보세요.

업데이트 소식을 받아보세요.

콘텐츠 제작 꿀팁들과 업데이트 소식을 받아보세요.

이런기획  |  대표자 : 손창균  |  사업자등록번호 : 301-38-63430
E-mail : thisthinkers@gmail.com  |  전화번호 : 070-8080-0386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13길 38 KT&G상상플래닛 604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 2024 이런기획 ALL RIGHTS RESERVED.

이런기획  |  대표자 : 손창균  |  사업자등록번호 : 301-38-63430
E-mail : thisthinkers@gmail.com  |  전화번호 : 070-8080-0386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13길 38 KT&G상상플래닛 604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 2024 이런기획 ALL RIGHTS RESERVED.

이런기획  |  대표자 : 손창균
사업자등록번호 : 301-38-63430
E-mail : thisthinkers@gmail.com
전화번호 : 070-8080-0386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13길 38 KT&G상상플래닛 604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COPYRIGHT ⓒ 2024 이런기획 ALL RIGHTS RESERVED.